대만과 홍콩 관광객이 일본에서 가장 많이 찾는 쇼핑장소와 물품은?
📝 樂吃購(라치고)! 일본 설문조사 개요
방일 관광 정보 사이트 '樂吃購(라치고)! 일본'은 타이완 및 홍콩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일본 내 쇼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설문조사는 춘제(설날)를 앞두고 진행되었으며, 총 2045개의 유효 응답을 받았습니다. '樂吃購! 일본'은 타이완과 홍콩 지역에서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방일 관광 정보 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의 연간 순 방문자 수는 1,300만 명에 달하며, 이는 타이완과 홍콩 전체 인구의 40% 이상이 이용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쇼핑 장소 및 품목
방일 기간 동안 쇼핑할 장소로 가장 많이 선택된 곳은 '드럭스토어'로 84.3%를 차지했으며, '편의점'이 77.3%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편의점 중에서는 로손(Lawson)이 95%의 응답률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방일 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으로는 '과자'가 83.1%로 가장 많았고, '식품'이 75%로 2위, '의약품'이 71%로 3위를 기록했습니다. 의약품 중에서는 아리나민, 감기약, 비타민 B군, 안약 등이 언급되었습니다. 저녁 식사 목적으로 백화점 지하 식품관이나 슈퍼마켓에서 음식을 구매하고 싶다는 응답이 90% 이상이었으며, 특히 '반찬'(83.6%)과 '디저트'(80.3%)가 인기 품목이었습니다.
타이완 및 홍콩인들은 일본인이 평소 먹는 음식을 맛보고 싶어 하고(81.6%),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한 번에 맛보고 싶어 하는(69.9%)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일본 반찬의 다채로운 색감도 구매 이유로 꼽혔습니다 (58.5%). '樂吃購! 일본'의 차이 위화이 편집장은 타이완과 홍콩인들이 백화점 지하 쇼핑을 일본 여행의 '부수적 목적'으로 생각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아기 용품으로는 내의, 의류, 신발의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쇼핑 예산 및 고가품 구매 의향
이번 일본 방문 시 쇼핑 예산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0만 엔 이상~20만 엔 미만'이 32.4%로 가장 많았습니다. '20만 엔 이상~50만 엔 미만'은 19.6%, '50만 엔 이상~100만 엔 미만'은 6.8%를 차지했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3.3%에 해당하는 68명은 예산이 '100만 엔 이상'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를 통해 타이완 및 홍콩인의 60% 이상이 다음 일본 여행에서 쇼핑에만 10만 엔 이상을 지출할 계획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비싼 품목으로 구매를 고려하는 것은 '가전제품'이 1위(394건)를 차지했으며, 다이슨 헤어드라이어, 조지루시 밥솥 등 특정 브랜드를 정해놓고 있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2위는 '브랜드 가방'으로 328건이 응답되었으며, 루이비통, 에르메스, 이세이 미야케 등 다양한 브랜드가 언급되었습니다.
구매를 고려하는 가장 비싼 물품의 가격대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인 51.8%가 '1만 엔 이상~10만 엔 미만'을 생각하고 있었고, 19.1%는 '10만 엔 이상~20만 엔 미만'으로 답했습니다. 50만 엔 이상의 고가품 구매를 고려하는 사람도 5.5%(113명) 있었습니다.
2024년 7월-9월 관광청의 인바운드 소비 동향 조사에 따르면, 타이완 관광객의 여행 소비액은 2,728억 엔, 홍콩은 1,664억 엔으로, 이 둘을 합하면 4,392억 엔에 달해 중국(4,999억 엔)에 버금가는 수준입니다.
💡 기타 조사 결과 및 시사점
이번 설문조사는 2024년 12월 16일부터 12월 23일까지 인터넷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樂吃購! 일본'의 타이완 및 홍콩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2023년 관광청 발표에 따르면, 방일 외국인 소비액 1위는 타이완으로 7,786억 엔을 기록했습니다. 타이완 및 홍콩 관광객은 일본 방문 전 1~3개월 전까지 쇼핑할 장소를 알아보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47.4%), 여행 중(일본에 와서) 알아보는 경우는 7.1%에 불과했습니다.
조사 결과 편의점을 주로 방문하는 한국 관광객과 다르게 대만과 홍콩 관광객들은 드럭스토어를 가장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계 관광객이 선호하는 4대 제품인 밥솥, 화장품, 스테인리스 보온병, 각종 의약품을 한꺼번에 접할 수 있는 공간이 드럭스토어라는 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