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5일 화요일

경구 탈모약은 자살 충동을 높일 수 있어요



피나스테리드와 자살 충동: 심층 분석

피나스테리드는 남성형 탈모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에요. 그러나 이 약물은 성 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 외에도 우울증 및 자살 충동과 같은 정신과적 부작용과의 연관성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어요. 이 글에서는 피나스테리드와 자살 충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메커니즘, 임상 연구, 위험 요소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피나스테리드의 약리학적 프로필 및 작용 기전

피나스테리드는 5-알파 환원효소(5α-reductase) 억제제로, 테스토스테론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전환되는 것을 막아요. DHT는 남성형 탈모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나스테리드는 DHT 수치를 감소시켜 탈모를 억제하죠. 그러나 DHT는 신경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며, 피나스테리드에 의한 DHT 감소는 성 기능 및 기분 변화와 같은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현재까지의 연구를 통하여 기전이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DHT 감소로 인한 부작용의 종류는 다음과 같아요.

  • 성 기능 관련 부작용: DHT는 남성의 성욕, 발기 기능, 사정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DHT 감소는 성욕 감퇴, 발기 부전, 사정 장애와 같은 성 기능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 정신과적 부작용: DHT는 신경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며, DHT 감소는 우울증, 불안, 자살 충동과 같은 정신과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요.

  • 기타 부작용: DHT 감소는 두통, 위장관 불쾌감, 통증, 유방 확대/압통, 피로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어요. 

이 중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는 자살 충동에 대한 부분을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DHT 감소의 영향 

DHT와 그 대사산물은 GABA-A 수용체를 조절하여 항불안(불안 감소)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피나스테리드는 DHT 수치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이러한 자연적인 불안 감소 메커니즘을 방해할 수 있어요. 또한 DHT는 흥분성 척추 시냅스의 수를 변경하여 뇌 회로를 수정하는 데 관여하므로, 이런 DHT의 변화는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기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도파민 시스템 장애

수컷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피나스테라이드가 뇌의 도파민 시스템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도파민 시스템은 보상처리, 동기부여, 행복감의 부여에 필수적이지만 피나스테리드는 이 시스템을 교란시켜 잠재적으로 우울증 증상과 무쾌감(쾌락을 느낄 수 없음)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자살 충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요.

해마 변화

피나스테라이드 사용은 장기 기억 처리, 감정적 반응 조절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해마의 변화와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이러한 변화는 우울한 행동, 인지 저하 및 신경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뇌 기능과 구조의 이러한 변화는 자살 충동을 일으킬 수 있어요.

호르몬 불균형

피나스테라이드는 DHT 수치를 낮추는 것 외에도 호르몬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요.

  • 테스토스테론 수치 : 피나스테라이드는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증가시키는 반면 세포 내 DHT를 감소시켜요. 이런 호르몬의 불균형은 기분과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 신경 활성 스테로이드 수치 : 피나스테라이드는 뇌척수액 내 신경 스테로이드 농도에 영향을 미쳐 기분과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개인적 차이

모든 피나스테라이드 사용자가 자살 충동이나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해요. 하지만 개인적 영향을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도 있는것으로 알려져 주의가 필요해요.

  • 연령: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18~44세) 복용자는 자살성 및 심리적 부작용에 대한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연구됐어요.

  • 기존 정신 건강 상태: 감정적 장애 병력이 있는 경우 피나스테라이드로 인한 자살 충동에 더 취약할 수 있어요.

  • 유전적 요인: 개별적으로 피나스테라이드로 인한 부정적인 심리적 영향에 취약하게 만드는 유전적 변이가 있을 수 있어요.

다른 약물과의 비교 및 관리 전략

현재까지 다른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와 피나스테리드의 정신과적 부작용 프로필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제한적이에요.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의 부작용을 비교 분석하여 각 약물의 안전성 프로필을 더 명확하게 규명해야 하는 상황이죠.  피나스테리드 사용 중 자살 충동을 경험하는 환자의 경우, 약물 중단을 고려하고 적절한 정신과적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인지 행동 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와 같은 심리 치료를 병행할 수 있어요. 만약 가족 중에 피나스테리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다면 주변에서 면밀하게 관찰하여 감정적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는 것도 꼭 필요하겠죠.

결론

피나스테리드와 자살 충동 사이의 연관성은 복잡하며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통하여 잠재적인 위험 및 이점에 대해 충분히 논의하고, 본인의 정신 건강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해요. 자살 충동을 경험하는 경우 즉시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해요.

참고 자료

  •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dermatology/fullarticle/2772818
  • https://themenshealthclinic.co.uk/the-devastating-effects-of-finasteride-post-finasteride-syndrome-pfs/
  • https://pubmed.ncbi.nlm.nih.gov/33814544/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658800/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172713/
  •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13329/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734544/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3-32356-3
  • https://hairscience.org/news/are-finasteride-side-effects-permanent/
  • https://www.hsa.gov.sg/announcements/safety-alert/finasteride-and-potential-risk-of-suicidal-ideation
  • https://pubmed.ncbi.nlm.nih.gov/22939118/

장내 미생물, 당신의 다이어트 성공을 좌우한다?!



다이어트, 늘 작심삼일로 끝나시나요? 샐러드만 먹고 헬스장에 매일 출석 도장을 찍어도 체중계 바늘은 꿈쩍도 하지 않는 것 같나요? 혹시, 당신의 장 속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요?

최근, 우리 몸속 작은 우주, 장내 미생물이 다이어트 성공의 열쇠를 쥐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어요. 단순히 "칼로리 in vs 칼로리 out" 공식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다이어트의 미스터리, 그 해답이 바로 우리 장 속 100조 마리의 미생물에 숨겨져 있을지도 몰라요. 오늘은 mBio 저널에 게재된 흥미로운 연구를 바탕으로, 장내 미생물과 다이어트의 상관관계에 대해 자세히 파헤쳐 보도록 할게요.

🧩 다이어트의 숨겨진 조력자, Akkermansia muciniphila

이번 연구의 주인공은 바로 Akkermansia muciniphila (이하 A. muciniphila)라는 장내 미생물이에요. 이름도 생소한 이 미생물은 장 점막층에 서식하며, 점액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독특한 생명체에요. 흥미로운 점은 A. muciniphila가 비만, 제2형 당뇨병, 대사 증후군 등과 같은 대사 질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는 거에요.

mBio 저널에 실린 이번 연구는 A. muciniphila가 고지방 식이로 인한 비만을 예방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췄어요.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는데, 고지방 식이를 먹인 쥐에게 A. muciniphila를 투여한 결과, 체중 증가가 억제되고 인슐린 민감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어요.

🔍 A. muciniphila, 어떻게 작용할까?

그렇다면 A. muciniphila는 어떤 마법을 부리는 걸까요? 연구진은 A. muciniphila가 장내 환경을 조절하고, 숙주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제시했어요.

  • 장벽 강화: A. muciniphila는 장 점막층을 강화하여 장내 유해 물질이 혈류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줘요. "장 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대사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 단쇄지방산(SCFA) 생산: A. muciniphila는 장내에서 단쇄지방산, 특히 프로피온산을 생산해요. 프로피온산은 포만감을 증가시키고, 간에서의 지방 생성을 억제하며,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어요.

  • 면역 조절: A. muciniphila는 장 면역 시스템을 조절하여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줘요. 만성 염증은 비만과 대사 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데, A. muciniphila는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데 기여할 수 있어요.

  • 담즙산 대사 조절: 이번 mBio 연구에서는 A. muciniphila가 담즙산 대사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어요. A. muciniphila는 특정 담즙산의 비율을 변화시켜 지방 대사를 조절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 장 건강, 다이어트 성공의 지름길!

이번 연구는 A. muciniphila가 단순히 장내 미생물 중 하나가 아니라, 우리 몸의 대사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열쇠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고 있어요. A. muciniphila와 같은 유익균을 늘리고 장내 미생물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다이어트 성공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 개선에도 필수적이에요.

그렇다면, 어떻게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까요?

  • 프리바이오틱스 섭취: 프리바이오틱스는 유익균의 먹이가 되는 식이섬유로, 양파, 마늘, 바나나, 귀리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요.

  •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익균을 직접적으로 섭취하는 방법으로, 요구르트, 김치, 된장 등 발효식품을 통해 섭취할 수 있어요. A. muciniphila를 포함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도 시중에서 찾아볼 수 있어요.

  • 다양한 식단: 편식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장내 미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돼요.

  • 규칙적인 운동: 운동은 장내 미생물의 구성과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 충분한 수면: 수면 부족은 장내 미생물 균형을 깨뜨릴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해요.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장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스트레스 관리에 신경 써야 해요.

장내 미생물은 우리 몸의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존재에요. A. muciniphila와 같은 유익균을 키우고 건강한 장내 환경을 조성하여 다이어트 성공은 물론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만들어보세요!